법무법인 송담

본문 바로가기

부당노동행위부당노동행위

부당노동행위제도란?

노동3권(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을 침해하여 노사관계 질서를 파괴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예방 제거함으로써 헌법이 규정하는 노동3권을 확보하고 노사관계 질서를 신속하게 정상화하기 위한 제도를 말합니다.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은 부당노동행위 구제방법으로 ① 노동위원회의 구제명령을 통한 원상회복주의와 ② 부당노동행위를 행한 자를 직접 처벌하는 처벌주의를 병행하여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근로자와 노동조합은 노조법상의 행정적 구제절차를 통해 부당노동행위를 제거하고 형사상 구제절차를 통해 형벌 등의 제재를 구할 수 있습니다.

 

행정절차에 의한 구제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로 인하여 그 권리를 침해당한 근로자 또는 노동조합은 노동위원회에 그 구제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노조법 제82조 제1항).

노조설립 과정의 부당노동행위에 대해서는 설립된 후에 그 노동조합에도 신청자격이 인정됩니다. 단체교섭 거부 및 지배개입의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노동조합이 신청인이 되는 것이나, 조합임원 또는 개별근로자도 이해관계자로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구제신청은 부당노동행위가 있는 날(계속하는 행위는 그 종료일)로부터 3월 이내에 하여야 합니다(노조법 제82조 제2항).

 

형사절차에 의한 구제

노조법 제81조의 각 호에 해당하는 부당노동행위로 피해를 입은 근로자 또는 노동조합은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진정, 고소(발) 등 사용자의 처벌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노조법 제90조).

부당노동행위에 대해서는 피해자의 의사에 관계없이 처벌 가능하며, 노동위원회를 통한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과 병행할 수도 있습니다.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진정, 고소(발) 등 신고사건 제기는 공소시효 완성 전까지 하여야 하며, 노조법 제90조 위반에 대한 공소시효는 5년입니다. 따라서 부당노동행위 관련 진정, 고소(발) 등은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5년 이내에 하여야 합니다.

 

민사절차에 의한 구제

① 해고무효확인소송

부당노동행위로 해고당한 근로자는 법원에 해고무효확인소송을 제기하여 권리구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② 손해배상 청구

사용자가 노동위원회의 구제명령을 거부하거나 형사처벌을 받고서도 근로자의 권리회복 조치를 취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피해당사자는 사용자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을 관할법원에 청구하여 이행판결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법무법인 송담, 대표변호사 이장희,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153, 3층 302호(서초동, 서울빌딩)
T.02-532-8787 F.02-532-8897 E.songdamlaw@daum.net
Copyright © 법무법인송담 All rights reserved. (ADMIN)